출처 : 에마누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페이스북(마크롱 대통령이 관중 앞에서 연설을 하는 모습이다.)
출처 : 에마누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페이스북(마크롱 대통령이 관중 앞에서 연설을 하는 모습이다.)

“연예인이 무슨 벼슬이라고 하고 싶은 대로 다 말하고 아무런 책임도 안 져야 하나.”

지난 13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 당시 장예찬 청년최고위원이 언급한 발언의 일부다. 장예찬 최고위원의 해당 발언을 언급할 당시 매우 강경한 어조를 구사하기도 했다. 집권당 청년 정치인의 감정선을 건드린 ‘선동’ 또는 ‘가짜뉴스’는, 달리 말해 그만큼 우리사회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가짜뉴스에 대한 우리사회의 호소는 ‘고질병’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이동관 방통위원장은 지난달 28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을 통해 “공영방송의 구조와 체질을 획기적으로 개혁하도록 하겠다”며 “그간 공영방송은 상업적 운영방법과 법적 독과점 구조의 각종 특혜를 당연시하면서도 노영방송이라는 이중성으로 정치적 편향성과 가짜뉴스 확산은 물론 국론을 분열시켜 온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힌 바다. 류희림 신임 방송통신심의위원장 역시 지난 8일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협적 존재가 된 내외부의 가짜뉴스 척결을 위해 우리 위원회가 가진 모든 역량을 동원하겠다”며 “최근 우리 위원회가 긴급 안건으로 상정한 국기문란급 허위·조작 보도가 후자의 대표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가짜뉴스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은 선진국에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지난 2017년 대통령 선거 기간 당시 각종 가짜뉴스에 시달렸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018년 “가짜 뉴스를 막을 법안을 추진하겠다”고 천명했다. 대선 당시 마크롱 대통령은 동성애자설, 해외 비밀계좌 보유설 등 많은 가짜뉴스에 시달려야 했다. 당시 비밀계좌 보유설은 대선 결선 경쟁 상대였던 극우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후보와의 텔레비전 토론을 불과 몇시간 앞둔 시점에 퍼지기도 했다. 이후 프랑스 정부는 ‘가짜뉴스 방지법’ 제정 시도를 펼친 끝에 지난 2018년 11월20일 프랑스 하원에서 ‘정보조작 대처에 관한 법안들(정보조작대처법)‘을 통과시켰다. 

이제 가짜뉴스를 활용해 개인의 사적 이익을 추구하며 우리사회를 병들게 하는 시도는 ’종식‘될 때가 왔다. 이 시도가 종식되지 않는다면 언젠간 우리의 ’정체성‘마저 잃어버리는 최악의 날이 다가올 가능성이 있음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