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네이버 영화(‘기생충’ 영화에 등장한 한국 반지하 주택 문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출처:네이버 영화(‘기생충’ 영화에 등장한 한국 반지하 주택 문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상 4관왕의 영광을 차지하게 되면서 영화 ‘기생충’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영화가 화제가 되자, 영화 속 배경이 된 반지하 주택 문화에도 외신들이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반지하’ 주택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처음 반지하 주택이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70년대이다. 반(半)지하는 건축법령에도 없는 개념이지만 1970년대 이후 산업화와 함께 서울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급속히 유입되면서 자생적으로 확산한 주거 형태이다. 
정부가 1970년 건축법을 개정하면서 일정 규모나 용도 이상 건축물을 지을 때 지하층을 짓도록 의무화하면서 다세대 주택 등에 지하층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건축법에서 지하층이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 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2분의 1이상인 것’으로 정의됨에 따라 지상층은 아니지만 완전히 지하층도 아닌 곳이 ‘반지하’가 된 셈이다. 

산업화로 인해 대도시로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하면서 주택 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되자 반지하층이 거주 공간으로 바뀌면서 반지하는 급속도로 확산됐다. 이후 1984년 정부는 다시 건축법을 개정해 지하층의 규제를 완화하면서 반지하 주택이 서민 주거문화의 한 종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때부터 정부는 ‘지하층에 사람이 거주하는 경우도 있어 그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라는 명목으로 지하층의 요건을 지하층 바닥부터 지표면까지 높이를 천장까지 높이의 3분의 2이상에서 2분의 1로 완화시키는 법을 개정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반지가 주택이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유는 현재 다세대 등 주택용 건물에 반지하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2003년 주차장법이 개정되면서 주택에 필수 주차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등 건축 관련 규제가 강화된 바 있다. 이후로는 주택 밀집 지역에 반지하보다는 필로티 건축물이 급속히 증가했다. 
또한 반지하가 많은 노후 주택지역이 재개발 등으로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주거수준이 올라가면서 반지하 주택에 대한 수요도 많이 줄어들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듯 ‘기생충’ 영화에 나온 한국의 ‘반지하’ 주택 문화는 영화 속 빈부격차를 상징하는 소재인 만큼 외국인들에게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다가오고 있다.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