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네이버 영화 포토(영화 1987의 한 장면.)
출처 : 네이버 영화 포토(영화 1987의 한 장면.)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해, 그날의 이야기

우리나라의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에 대해 물으면 다양한 작품이 생각날 것이다. 아마 ‘명량’ ‘암살’ ‘국제시장’ 등 다양한 히트작들이 머릿속에 그려질 것이다. 근현대사에 관심이 많은 필자는 ‘남산의 부장들’ ‘1987’이 먼저 떠올랐다. 그리고 단 한 작품만 인생작으로 꼽아서 소개한다면, 기자의 역할이 인상 깊었던 ‘1987’이 아닐까 싶다.

영화 ‘1987’은 2017년에 개봉한 장준환 감독의 작품으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6월 민주 항쟁’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뤘다. 시대상이나 배경만 가져와서 따로 지어낸 가상의 이야기가 아니라 극의 연출과 전개를 돕는 픽션을 가감해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영화화했다.

영화는 사이렌을 요란하게 울리는 구급차가 달려가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목적지는 남영동 대공분실. 경찰 조사를 받던 서울대생 박종철 군(여진구)이 물고문을 당하다가 의식을 잃었기 때문이다. 경찰은 증거인멸을 하기 위해 박처원 처장(김윤석)의 뜻에 따라 시신을 불태우려고 한다. 

그러나 당직을 서던 최환 검사(하정우)는 부검도, 장례도 없이 화장부터 진행한다는 점에 이상함을 느껴 이를 거부한다. 압박이 계속 가해지자, 최 검사는 시신보존명령서를 발부하면서 부검을 밀어붙인다. 경찰은 쇼크사로 위장해 거짓으로 발표를 하지만, 윤상삼 기자(이희준)가 물고문 정황을 파헤쳐 보도하기에 이른다. 박 처장은 사건을 잠재우기 위해 최대한 축소하려고 하지만, 온 국민들이 뜨겁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은 배우들의 연기력, 작품성과 더불어 사회적 메시지까지 잘 전달했다는 것이다. 수많은 등장인물과 사건을 어색함 없이 연결해 작품의 완성도가 높다는 느낌을 받았다. 누구 하나가 주연이라고 비중을 두었다기보다는, 불의에 저항했던 이들을 조명하며 모두가 1987년의 주인공임을 말해주고 있다. 인물의 사투리까지 살리거나 언론 탄압, 운동권 탄압, 강제 연행이나 고문 및 은폐 등 대사에 시대상이 잘 녹아있어 역사의 고증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이 느껴졌다.

기억에 남는 장면이나 대사도 많았지만,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을 꼽자면 단연 엔딩이 아닐까 싶다. 극의 모든 요소와 메시지를 한 번에 담아냈던 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한다. 당시 신문에 보도됐던 내용과 사진을 완벽에 가깝게 재현했다. 덕분에 그때의 아픔과 그날의 열기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다.

타이틀 연출 또한 인상 깊었던 요소 중 하나다. 제목을 띄우는 것은 이야기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로, 보통 초반부에 보여주기 마련이다. 이와 달리 본 영화에서는 타이틀을 최후반부에 배치했다. 이는 곧 6월 항쟁이 극의 끝을 알림과 동시에 민주주의의 역사가 시작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뜨겁게 싸웠던 그때 모두의 이야기, 영화 ‘1987’이다.


서준완 객원기자
* 서준완 객원기자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에서 언론을 전공 중인 예비언론인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