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행정안전부(여름철 폭염 대비 국민행동요령)
출처: 행정안전부(여름철 폭염 대비 국민행동요령)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영국 기상청 연구원들의 발표에 따르면 앞으로 5년 안에 세계 기온이 1.5도 이상 따뜻해질 가능성이 약 50%로 예상된다. 지구는 파리 기후협약을 맺은 2015년부터 지난 7년간 온도가 1도 상승한 부근에 머물러 있었으며, 온도가 단 1도 오르는 것만으로 세계 곳곳에서 폭염 등 유례없는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 대한민국은 유독 기온의 상승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이 0.87도 상승한 데 비해 한국은 무려 1.8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 강원 홍천군의 최고 기온이 41도까지 오르면서 한국 기상 관측 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하는 등 빠른 속도로 온도가 상승 중이다. 그런가 하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난 2017년 기준 전 세계 7위를 차지하며 국제사회에서 ‘기후악당’으로 낙인찍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 속에서 전문가들은 현재 국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자연재해 중 가장 큰 원인으로 폭염을 꼽았다. 행정안전부의 재해연보와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2018년까지 태풍과 폭염, 집중호우로 약 1400명이 사망했는데, 이중 무려 600명이 폭염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태풍과 홍수의 경우 이재민 구호 등 적극적인 국가적 대응으로 피해가 감소하는 추세지만, 재난 포함 범위가 아니었던 폭염의 피해 사례는 증가한 것이다. 정부는 2018년에서야 폭염을 재난기본법상의 자연재난으로 포함시키는 등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 중 가장 심각한 사안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사망자 중 상당수가 취약계층이라는 것이다. 1997~2018년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온열질환 사망자 627명 중 61%인 385명이 병원이 아닌 주택 내에서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10명 중 6명이 병원에서 치료받을 형편이 되지 않는 저소득층에 속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가 취약계층 구제를 위한 복지 정책에 힘쓰지 않는다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국민들은 생명 영위라는 기본적인 권리조차 보장받지 못할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피해가 점점 더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취약계층의 피해가 더욱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지금도 중앙정부의 재난기본법 정책과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취약계층에 생필품을 전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SOS 기후행동 공익활동 등의 노력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두고 상대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해 보다 나은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지현 객원기자

* 김지현 객원기자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에서 언론을 전공 중인 예비언론인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