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사이드뷰 (9월 K-ESG평가원 원장으로 취임한 심보균 원장)
출처: 사이드뷰 (9월 K-ESG평가원 원장으로 취임한 심보균 원장)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ESG’는 더 이상 낯선 용어가 아니다. '사회책임투자'(SRI) 혹은 '지속가능투자'의 관점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요소는 기업성과지표로 투자결정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기업을 넘어 국가의 성장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표가 되었다. 이에 세계적으로 많은 금융기관이 ESG 평가 정보를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내 평가기관인 ‘K-ESG평가원’을 통해 평가를 받고 있다.
<사이드뷰>는 9월 1일, 새롭게 취임한 K-ESG평가원 심보균 원장의 인터뷰를 통해 K-ESG평가원의 역할과 ESG 실천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들어보았다.

‘K-ESG평가원’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해 달라
K-ESG평가원은 국내 ESG 전문 평가 기관으로 빅데이터를 디지털로 전환한 객관적 자료를 통해 진단, 평가를 하고 그 평가 결과에 따라 자격증을 발급해 주고 있다.
동시에 ESG경영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과 지방의 공공기관에 진단/평가/컨설팅을 함께 제공하여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K-ESG평가원’에 취임하시기 전 어떤 이력이 있으셨는지, ESG와 관련이 있는지
30년 넘게 공무직을 했다. 행안부 차관직을 끝으로 공직은 마무리 하고 그 이후로 송도에 있는 UN Government 센터에서 2년 반정도 근무를 했는데 그 곳에서 개도국 행정시스템 역량을 강화하는 업무를 주로 했었다.
ESG는 사실 UN에서 제안 되었고 책임투자원칙(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이 만들어졌다. UN센터에서 ESG개념의 일환으로 탄소중립실천과 관련된 교재 프로그램을 제작 활동을 했었기에 ‘K-ESG평가원’에 작은 힘을 보태고 싶다.

우리나라 중소기업과 지방 공공기관의 ESG 현황은?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ESG는 빈 껍데기 같은 느낌이다. 정부와 기관, 언론이 떠들고는 있으나 정책이 뿌리 깊게 내리지 않아 중소기업이나 지방 공공기관들은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K-ESG평가원’에서는 개념에 그치지 않고 투자원칙을 세우고 방향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힘을 보태고 있다. 중소기업의 외부 기관의 투자 유치, 사업 투자 방향, 소비자의 소비 흐름을 만들어 가는데 필요한 컨설팅을 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해 주길 바란다.

출처: 사이드뷰 ( 심보균 원장이 인터뷰를 통해 정부와 기업의 나아갈 길을 조언해 주고 있다)
출처: 사이드뷰 ( 심보균 원장이 인터뷰를 통해 정부와 기업의 나아갈 길을 조언해 주고 있다)

ESG 실현을 위해 정부와 기업은 어떤 변화를 가져야 하나
현재 정부에서도 조금씩 변화를 가지고는 있다. 올해 1월부터 시행 한 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 대표의 책임경영의식을 만들기 위한 법으로 ESG의 흐름에 맞추어 시행되고 있는 정책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025년부터는 자산 2조 이상의 기업 및 기관은 의무적으로 ESG보고서를 공시해야 한다. 정부와 힘 있는 기업들이 먼저 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흐름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ESG금융 상품으로 낮은 이율로 조달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노력, 대기업은 중소기업인 협력업체에 ESG를 조건으로 거래 또는 협조 요청하는 형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의 의식 개선도 매우 중요하다. ESG 생산은 투자 비용이 많이 들 수 밖에 없다. 단가가 높더라도 기꺼이 ESG기업의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형태도 필요하다. 정부, 기업, 소비자의 선순환 구조가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경제를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 주실 말씀은?
‘ESG개념을 가진 자가 이긴다’
이제 세계적인 흐름을 더 이상 묵과하지 않고 실행을 해야 대한민국을 살릴 수 있다. 
EU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부과하는 관세인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고 23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사실상 추가 관세라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대비를 해야 한다. 정부와 기업들이 빠르게 변화하지 않는다면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는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또한 이에 발 맞추어 소비자의 인식 변화도 요구된다.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