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김포시(김포시청 전경)
출처 : 김포시(김포시청 전경)

김포시가 세계적 친환경 도시인 스웨덴의 함마르비를 모티브로 한 ‘친환경 재생도시’ 행보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친환경자원회수센터 광역화를 시도해 ‘자립 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다잡으려는 전략을 구사하려는 움직임을 선보인 게 하나의 사례다. 

22일 본지가 김포시 친환경자원회수센터 광역화 행보를 종합 취재한 결과, 우선 시는 지난 2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두달간 신규 광역 친환경자원회수센터 입지 후보지 관련 공개 모집을 발표했다. 친환경자원회수센터는 생활폐기물 소각 기능과 재활용 선별 기능을 두루 갖춘 종합환경시설이다. 다음으로 시는 광역 친환경자원회수센터 입지가 결정될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 방안에도 구체적인 설계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김포시의 친환경자원회수센터 광역화 시도에 대해 ‘함마르비의 길’을 걷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전망을 펼쳤다. 

스웨덴의 친환경 재생도시인 함마르비는 과거에 주로 항구를 중심으로 한 공업도시의 이미지를 선보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후 도시 핵심산업이던 제조업 등이 쇠퇴하고 설비가 낡아짐에 따라 기능을 잃어버리게 됐다. 시간이 흘러 함마르비는 각종 산업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까지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러다 1990년 스웨덴 정부는 함마르비 도시를 환경친화적인 주거전용 생태도시로 재개발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 교통과 에너지, 상하수도 및 폐기물, 주거지 등 여러 분야에서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뒀다. 쓰레기, 물 등을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에너지순환시스템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함마르비 모델’이 구축된 것도 이때다. 해당 모델을 지탱하는 하나의 축은 친환경자원회수센터 건립이다.
 
더욱이 함마르비는 수변도시인 점에서 김포와 유사한 점이 많다. 함마르비는 네 개의 물길을 대지 안 깊숙이 끌어와 많은 수변공간을 만들어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김포는 김포대수로, 가마지천, 실개울을 활용해 총 길이 16㎞의 단지 내 수로를 조성한 국내 최초 ‘수변도시’라는 특징이 있다.

연장선상에서 김포시가 친환경자원회수센터 설립에 팔을 걷어붙인 이유는 지난 7월 환경부가 발표한 폐기물관리법 시행 규칙 확정 공포와도 연관이 깊다. 해당 규칙은 ‘종량제 폐기물을 선별이나 소각 없이 매립하는 행위 금지’를 골자로 한다. 지난 7월1일부터 오는 2026년 6월30일까지 4년간 임기를 시작하는 수도권 민선 8기 시장은 임기종료 6개월 전까지 소각장을 확충해야 하는 상황이다. 2025년 12월까지 소각장을 건설해야 하는 수도권 10개 시는 김포시를 비롯해 서울시·인천시·고양시·부천시·안산시·남양주시·안양시·화성시·광주시 등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쓰레기 대란’ 방지다. 김포시에 따르면, 50만 인구에 육박한 김포는 올해 기준 ‘하루 252톤의 생활폐기물’을 배출하고 있다.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오는 2027년엔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345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일부 환경단체는 우려한 바다. 하지만 현재 김포엔 2012년 김포한강신도시 조성 당시 ‘하루 84톤’ 소각 가능한 자원화센터만 건립됐을 뿐, 시 자체적으로 전반적인 생활폐기물 처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이 지속돼 쓰레기 대란을 직면한다면 시민 불편과 과도한 세금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다는 게 환경단체의 중론이다. 

한편 환경부는 수도권 10개 시가 2026년 이전까지 부족한 소각장을 적기에 확충할 수 있도록 소각장을 확충하지 않는 지자체의 경우, 다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시에 국고 지원을 하지 않는 것을 검토 중이다.

또 주민수용성을 높이고 지자체의 재정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소각장을 지하화할 경우 사업비의 1.4배 이내에 국고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으며, 주민지원기금 조성을 확대하는 등 주민지원을 강화한 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